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전세사기 피해 예방법

by AILO 2023. 1. 13.
반응형

최근 논란이 되는 빌라왕 사건처럼 전혀 관계없는 사람을 집주인으로 둔갑시켜 전세사기 피해 자를 만들거나, 무자본으로 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받아 빌라를 매입한 후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는 사례와 소유자(임대인)의 세금 체납에 따른 주택 압류 후 공매 진행등으로 보증금의 상당액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사례가 연달아 발생하고 있다.

 

임차인의 입장에서는 막을 방법도 피해를 보상받을 방법도 마땅치 않은 상황이지만,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국자산관리공사에서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법에 대한 내용을 만들어 게재하였다.

 

반응형

전세사기 유형

  1. 이중계약 : 건물 관리인이 세입자와 전세 계약을 진행하고, 집주인에게는 월세로 계약했다고 하면서 보증금을 편취하는 유형
  2. 갭투자 사기 : 매매 가격보다 수천만원 높게 전세 계약을 체결한 후 경제적 능력이 없는 제삼자에게 집을 팔아버리고 도망가는 유형
  3. 불법건축물 사기 : 상가(근린생활시설)로 등록한 건물을 주거용 건물로 속이거나, 불법으로 베란다나 옥탑 등을 증축한 건물에 세입자를 들이는 유형
  4. 직거래 사기 : 집주인을 사칭한 사람이 부동산을 통하지 않고 세입자와 계약후 전세금을 편취하는 방법

임차인 권리 보호를 위한 전세사기 피해 예방 방법

① 임대차 계약 전 반드시 서류 확인을 한다.

 - 계약 전 시세, 등기사항증명서, 미납세금 열람을 통해 전세가격 적정여부, 계약 상대방이 소유자가 맞는지 여부, 선순위 권리관계를 꼼꼼히 확인한다.

 

② 계약 체결 후 서류 재확인 절차를 진행한다.

 - 계약 체결 후 잔금 지급 전 등기사항 증명서를 확인하여 선순위 권리관계 등을 다시 확인한다. 또한 주택점유와 전입신고를 진행해 대항력도 확보하여야 한다.(근저당권과 전입신고가 같은 날에 진행 시 대항력을 인정받지 못한다.)

** 계약서에 "전입신고 효력이 발생하는 계약일 다음 날까지 계약당시 상태로 유지" 한다는 특약사항을 기재하면 피해 발생을 줄일 수 있다.

 

③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한다.

 - 만약 임대인이 보증금 반환을 진행하지않을경우에 보증사를 통해 전세보증금을 반환받을 수 있다.

** 보증사 :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서울보증보험

 

④ 전세권 설정

 - 전입신고가 곤란할 경우에는 등기사항증명서 상에 전세권을 설정하여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다.

전세사기 피해 예방

반응형

댓글